20대엔 ‘직장 잡는 게 인생 최대 목표’였고,
30대엔 ‘승진, 연봉, 대출’이 하루하루의 과제였죠.
그러다 40대가 되면, 달라져요.
문득 드는 생각.
“앞으로 몇 년이나 더 일할 수 있을까?”
“지금처럼 벌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남았지?”
“노후에 뭐 먹고 살지…?”
그렇게 ‘은퇴’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실감 나기 시작합니다.
젊지도, 그렇다고 준비가 다 된 것도 아닌
어중간한 시기.
바로 지금이 진짜 은퇴 설계를 시작해야 할 골든타임입니다.
퇴직연금, 이제는 점검하고 ‘운용’해야 할 때
회사에서 퇴직연금 잘 챙겨주고 있다?
좋은 일이죠. 근데 그걸로 끝이면, 모자랍니다.
40대가 되면 퇴직금 액수도 제법 커져요.
문제는, 운용 안 하면 거의 예금 수준 수익률이라는 것.
여기서 IRP(개인형 퇴직연금)이 중요해집니다.
퇴직연금 일부 또는 추가 자금을 IRP로 옮기면
ETF, 펀드, TDF 등으로 자산 분산 가능하고,
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도 돼요.
즉, 절세 + 투자 + 노후 대비
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구조죠.
절세는 돈 버는 것만큼 중요하다
“내가 무슨 세금을 그렇게 많이 내?”
하면서 연말정산 결과에 깜짝 놀라본 적, 있으시죠?
이때 연금저축과 IRP를 이용한 세액공제는
가장 확실한 절세 수단이에요.
- 연금저축: 연 400만 원 한도, 세액공제 최대 66만 원
- IRP: 추가 300만 원까지 가능, 합산 시 최대 공제 115.5만 원
그리고 10년만 해도 수백만 원 절세.
거기에 복리 수익률 +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(3.3~5.5%)까지 더해지죠.
절세는 수익률 10%보다 강력한 ‘확정 이득’이에요.
40대가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재테크입니다.
은퇴 전망 – 40대가 은퇴를 ‘준비’하지 않으면 생기는 일
은퇴는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만,
40대에게는 이미 서서히 다가오고 있어요.
그리고 예상보다 훨씬 빨리
자산보다 현금 흐름이 중요해지는 순간이 와요.
그때 연금이 없다면?
자산이 있어도 현금은 없고,
퇴직금은 목돈이지만 몇 년 안에 바닥나죠.
그래서 40대엔 현금 흐름이 있는 자산을 만들기 시작해야 합니다.
퇴직연금은 기본,
연금저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,
IRP는 운용 전략이 필요한 통로.
이 세 가지가 없으면
‘돈은 벌었는데 노후가 불안한’
그 흔한 시나리오가 됩니다.
[결론: 40대, 지금이 은퇴 설계의 시작점이다]
40대는 인생의 후반전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.
이미 늦은 것도 아니고, 여유도 많지 않죠.
그러니 지금 딱 필요한 준비만 정확히 하면 됩니다.
퇴직연금 점검하고,
연금저축 가입하고,
IRP 세액공제 챙기고.
이 세 가지가
당장 월급을 늘려주진 않지만,
10년 후 내 삶을 지탱해줄 버팀목이 됩니다.
지금 시작하면,
나중에 이런 말 하게 될 거예요.
“내가 40대에 시작하길 정말 잘했어.”